본문 바로가기
간지백-간호지식백과/기본간호

기관삽관 (intubation)

by 간지백 2025. 5. 9.
반응형

intubation

 

 

▢ 기도 유지가 필요하거나 인공호흡기 치료가 필요한 환자의 기관 내로 튜브를 넣어 기도를 확보하는 시술

▢ 효과적인 흡인, 응급 약물을 투여 할 수 있으나 불편감, 불안정을 유발함.

▢ 목을 움직일 수 없으면 시행이 불가능함.

 

1. 적응증

 

▢ 수술, 전신마취 등 무의식 환자

▢ 호흡장애 및 불안정으로 호흡보조 및 기도유지가 필요한 경우

▢ 기도 폐색, 다량의 분비물로 기도확보가 어려운 경우

▢ 저산소증으로 인해 산소공급이 원활하지 않을 때

▢ CPR 상황일 때

 

2. 기관삽관 시 필요 물품

þ Endotracheal tube (성인 여성 기준 7.0~7.5Fr, 성인 남성 기준 7.5~8.0Fr)

þ Laryngoscope & Blade, Stylet

þ 10cc syringe (ballooning 용)

þ 1L 크린조 (멸균식염수)

þ Ambubag, Airway

þ Suction bottle & Line

þ 고정용 테이프, 멸균장갑, 청진기

 

3. 기관삽관 방법

 

1) E-Tube 에 Stylet을 넣어 하키스틱 모양으로 휘게 해준다.

이 때, stylet이 E-tube 밖으로 나가면 기도손상 위험이 있으니 주의!

 

2) 크린조에 담궈 Syringe를 이용해 Ballooning 하여 이상여부를 확인한다.

 

3) 똑바로 누운 자세에서 베개를 이용하여 sniffing position(고개를 뒤로 한껏 젖혀 기도가 잘 보이게 해주는 자세) 을 취한다.

 

4) intubation 전,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고 틀니와 의치 여부를 확인한다.

 

 

5) 필요시 pre medicaction을 시행한다. (Ex. Medazolam, Propofol, Etomidate, Vecaron 등)

 

6) Laryngoscope blade 끝이 삽입방향(환자의 턱방향)을 향하도록 의사의 왼손에 건넨다.

 

7) E-tube 끝이 삽입방향을 향하도록 의사 오른손에 건넨다.

 

8) 'stylet 제거해주세요'라고 하면 stylet을 제거한다. Laryngoscope를 제거 할 때 Airway를 삽입한다. (E-tube Biting 방지)

 

9) 의사 판단 하, 확인이 필요할 경우 청진을 시행함. 이 때, 손을 바꿔 bagging을 시행함.

 

10) ‘고정해주세요’라고 하면 E-tube를 테이프로 고정하거나 multi-fix를 이용하여 ETT가 빠지지 않도록 고정한다.

(고정 시 앞니 기준 cm을 공유한다.)

 

11) x-ray 촬영하여 최종적으로 위치를 확인한다.

 

 

4. ETT 고정 방법

 

1) 한쪽 볼부터 시작하여 입술 위를 가로질러 tube와 피부를 밀접하여 부착함.

 

2) 앞니를 기준으로 E-tube 고정 깊이를 맞춰 테이프를 두바퀴 정도 돌림.

(이 때, 삽입된 깊이, cm을 가리지 않게 부착)

 

3) 이후 다른 쪽 볼을 끝 지점으로 테이프를 피부에 부착함.

 

4) 두번째 테이프를 이용하여 첫번째 부착한 방향의 반대로 교차하면서 E-tube를 고정함.

(첫번째 테이프를 튜브 기준 위에서 아래로 붙였다면 두번째는 아래에서 위 방향을 향하게 교차하여 부착 *화살표 참고*)

 

5) 테이프로 tube 두바퀴 정도 감으면서 부착함.

 

6) 마무리로 볼에 테이프를 접착하며 tube를 고정함.

 

7) airway 고정을 위해 테이프를 부착함. (아래쪽 테이프 부착 시 침으로 인해 떨어질 수 있어 위쪽만 고정함)

 

※ 첫 번째 고정(1~3번)을 잘 해두었다면, 두 번째 고정(4~6번)은 생략가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