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지백-내과편/호흡기

흡인 간호 suction

by 간지백 2025. 5. 8.
반응형

 

흡인 간호

 

 

 

▢ 구비강 흡인 (Oral & Nasopharyngeal suction)

: 스스로 분비물을 제거할 수 없을 때, 구강 또는 비강 및 기도에서 분비되는 분비물을 흡인장치를 이용하여 분비물을 흡인하는 것.

 

▢ 기관 흡인 (Endotracheal suction)

: 인공기도의 개방성을 유지하고 가스 교환 증가, 기도 저항의 감소, 기관과 주기관지로부터 객담을 제거하여 감염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함.

 

 

1. 적응증

 

▢ 인공기도 내부에 분비물이 있을 경우

▢ 위액이나 상기도 분비물의 흡인(Aspiration)이 의심될 때

▢ 기관이나 주기관지에서 비정상 폐음이 청진될 때

▢ 인공호흡기를 적용중인 환자에서 최고 기도압이 증가할 때

▢ 호흡횟수가 증가하거나 지속적인 기침을 할 때

▢ PaO2, SaO2, SpO2가 갑자기 혹은 점차 감소 할 때

▢ 기도 개방성이 의심되는 갑작스런 호흡곤란

▢ 기침을 스스로 할 수 없는 대상자

 

2. 흡인간호 시 필요 물품

 

þ 흡인기

þ PVC line (흡인기, suction catheter 연결용)

þ suction catheter

þ 멸균장갑

þ 멸균 생리식염수 또는 크린조

þ airway (구강흡인 시)

※ suction catheter를 고르는 방법!
1) oral, T-tube suction 시 rubber suction catheter 사용.
2) ETT suction 시 PVC suction catheter 사용. 
※ suction catheter를 고를 때는, tube 직경의 ½이 넘지 않는 사이즈를 선택한다

 

3. 흡인간호 방법 

 

▢ 구강흡인 (자주 사용하지 않는 손은 감염 / 자주 사용하는 손은 멸균)

 

1. 필요 물품을 준비한다. (흡인 카테터 : 성인 12~14Fr, 소아 8~10Fr )

 

2. suction 기계와 suction bottle 을 연결하여 'vaccum'에 설치한다.

 

3. 환자확인 후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적절한 체위로 변경한다.

⦁의식이 있는 경우 : 금기가 아니라면 반좌위 (기도 개방 유지하기 위함)

⦁의식이 없는 경우 : 측위에서 간호사와 얼굴을 마주보는 자세, 측위에서 머리만 살짝 젖힌 자세 (Aspiration 예방)

 

4. 멸균 생리식염수 또는 크린조를 개봉하고 suction catheter의 입구를 약간만 개봉한다.

 

5. 필요시 흡인 전 100% 산소를 제공한다. ( 30초 이상)

⦁COPD, Asthma : CO2 retention 위험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가능한 과산소를 시행하지 않고 suction 하는 것이 좋으나, 고농도의 산소를 제공하더라도 30초~1분만 제공하고 바로 기존의 산소 농도로 변경 및 유지해야 함.

⦁입원 시 ABGA 검사 상 PCO2가 높은 대상자는 과산소 시행 제한.

 

6. 손위생을 시행하고 일회용 장갑 착용한다.

 

7. Airway를 부드럽게 돌려서 적용한다.

 

8. 자주쓰지 않는 손으로 흡인기를 켜고 자주사용하는 손을 이용하여 suction catheter를 잡는다.

⦁흡인기 압력 기준 : 성인 : 110~150mmHg, 아동 95~100mmHg, 소아 50~95mmHg

 

9. 자주 쓰지 않는 손으로 PVC line을 잡고 자주 사용하는 손으로 suction catheter 잡아 연결한다.

 

10. 카테터 기능 확인 및 윤활작용을 위해 생리식염수를 한번 통과 시킨다. (흡인압이 잘 걸리는지 점검 필수!)

 

11. Thumb port 를 막지 않은 상태에서 suction catheter를 airway 안으로 부드럽게 삽입한다.

 

12. Thumb port를 막고 catheter를 부드럽게 회전시키면서 위로 빼내며 분비물을 흡인한다.

⦁suction 은 대상자의 저산소 상태를 살피면서 시행해야하며, 1회당 10~15초를 경과해서는 안된다.

 

13. 분비물이 제거될 때까지 20~30초 간격을 두고 2~3회 추가흡인을 시행한다.

 

14. 생리식염수를 통과시켜 분비물의 양상을 관찰한다.

 

15. 흡인간호 종료 후 자주 사용하는 손으로 airway를 제거한 후 suction tip을 움켜잡아 장갑을 뒤집어 폐기한다.

 

16. 왼손 장갑을 절반만 뒤집어 벗어 suction line을 가지런히 정리해 걸어두고 흡인기의 압력을 끈다.

 

17. 장갑을 뒤집어 벗어 폐기 후 손소독을 시행한다.

 

18. 환자의 상태 및 분비물의 양상을 기록한다

 

▢ 기관절개관 흡인 (자주 사용하지 않는 손은 감염 / 자주 사용하는 손은 멸균)

 

1. 필요 물품을 준비한다.

⦁흡인 카테터 : 성인 12~14Fr, 소아 8~10Fr

⦁카테터의 직경은 T-tube 직경의 1/2을 넘지 않아야한다.

 

2. suction 기계와 suction bottle 을 연결하여 'vaccum'에 설치한다.

 

3. 환자확인 후 목적 및 방법을 설명한 후 적절한 체위로 변경한다.

⦁의식이 있는 경우 : 금기가 아니라면 반좌위 (기도 개방 유지하기 위함)

⦁의식이 없는 경우 : 측위에서 간호사와 얼굴을 마주보는 자세, 측위에서 머리만 살짝 젖힌 자세 (Aspiration 예방)

 

4. 멸균 생리식염수 또는 크린조를 개봉하고 suction catheter의 입구를 약간만 개봉한다.

 

5. 필요시 흡인 전 100% 산소를 제공한다. (30초 이상)

⦁COPD, Asthma : CO2 retention 위험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가능한 과산소를 시행하지 않고 suction 하는 것이 좋으나, 고농도의 산소를 제공하더라도 30초~1분만 제공하고 바로 기존의 산소 농도로 변경 및 유지해야 함.

⦁입원 시 ABGA 검사 상 PCO2가 높은 대상자는 과산소 시행 제한.

 

6. 손위생을 시행하고 일회용 장갑 착용한다.

 

7. 자주 쓰지 않는 손으로 흡인기를 켜고 자주 사용하는 손을 이용하여 suction catheter를 잡는다.

⦁흡인기 압력 기준 : 성인 : 110~150mmHg, 아동 95~100mmHg, 소아 50~95mmHg

 

8. 자주 쓰지 않는 손으로 PVC line을 잡고 자주 사용하는 손으로 suction catheter 잡아 연결한다.

 

9. 카테터 기능 확인 및 윤활작용을 위해 생리식염수를 한번 통과 시킨다. (흡인압이 잘 걸리는지 점검 필수!)

 

10. Thumb port를 막지않은 상태에서 suction catheter 를 기관내로 삽입한다. 이 때, 삽입된 T-tube의 길이를 참고하여 10~12.5cm 정도의 깊이로 삽입해야한다. suction catheter 가 잘 들어가지 않는다면 폐색의심 하에 적절한 간호를 제공해야한다. (번 항목 참고)

 

11. Thumb port를 막고 catheter를 부드럽게 회전시키면서 위로 빼내며 분비물을 흡인한다.

⦁suction 은 대상자의 저산소 상태를 살피면서 시행해야하며, 1회당 10~15초를 경과해서는 안된다.

 

12. 분비물이 제거될 때까지 20~30초 간격을 두고 2~3회 추가흡인을 시행한다.

 

13. 생리식염수를 통과시켜 분비물의 양상을 관찰한다.

 

14. 흡인간호 종료 후 오른쪽 손으로 suction tip을 움켜잡은 후 장갑을 뒤집어 폐기한다.

 

15. 왼손 장갑을 절반만 뒤집어 벗어 suction line을 가지런히 정리해 걸어두고 흡인기의 압력을 끈다.

 

16. 장갑을 뒤집어 벗어 폐기 후 손소독을 시행한다.

 

17. 환자의 상태 및 분비물의 양상을 기록한다.

 

추가) ETT, T-tube 유지 환자의 경우, O2 및 Nebulizer 치료는 tube를 이용해야합니다.
Nasal prong, mask 사용하지 않습니다.

 

4. 흡인 시 주의사항

 

1) 흡인하는 과정에서 기도 내 산소를 제거하기 때문에, 고농도의 산소를 제공한 후 흡인을 시행한다.

※ 예외) COPD, Asthma 환자 및 입원당시 ABGA 상 PCO2가 높은 환자

 

2) 기관 흡인의 경우 삽입 길이가 중요하며, 삽입 후 카테터 끝이 벽에 부딪힌 듯한 느낌 또는 저항감이 들면 1~2cm 정도 뒤로 뺀 후에 압력을 가해야한다.

(기관분지를 자극 및 미주신경 자극으로 인해 서맥이 발생, CPR 상황이 생길 수 있음)

 

3) 흡인압력은 150mmHg를 넘지 않아야한다. 과도한 흉곽 내 음압형성으로 기관 폐색 및 기관지 손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가래의 양상이 너무 끈적거려 흡인이 어려울 경우, nebulizer 또는 chest percussion 시행 가능하다.

(구강 내만 흡입하는 경우라면 압력은 큰 문제가 되지 않음)

 

4) (환자의 HR 평균치 기준) 20회/분 감소(미주신경자극) 또는 40회/분 증가, 혈압저하, 부정맥 발생, SPO2 저하 시 즉시 흡인을 중단하고 산소를 공급해야한다.

 

5.  T-tube 길이 확인 방법

 

1) 크기(Fr)에 따른 공식 길이 확인  (T-tube 길이 표 참고, * 제조사마다 소수점 차이는 있을 수 있음* )

T-tube 길이

 

2) Pacs를 이용하여 T-tube 길이를 측정하는 방법

 

6. 이상증상 대처방법

 

아래의 증상이 발견되면 T-tube 폐색, O2 line disconnect, T-tube 이탈을 의심해볼 수 있다.

 

1) 산소포화도가 급격하게 떨어지는 경우

 

2) 환자가 불안해 보이는 경우

 

3) 불안정한 흉곽 움직임이 관찰되는 경우

 

4) 켁켁거리는 듯한 호흡이 관찰되는 경우

 

5) 청색증이 관찰되는 경우

 

 

þ T-tube suction 시, 삽입된 T-tube의 길이까지 들어가지 않는 경우 폐색을 의심해야하며
청진기를 이용하여 숨소리를 점검하거나 환자의 호흡양상 확인을 해야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