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지백-내과편/소화기
Ventricular Tachycardia (심실빈맥)
by 간지백
2025. 4. 24.
V-TAC
의학에서 V-TAC은 일반적으로 심장학 분야에서 사용되는 약어로, 다음을 의미합니다:
🫀 V-TAC = Ventricular Tachycardia (심실빈맥)
- 정의: 심장의 심실이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뛰는 부정맥의 한 형태
- 정상 심박수: 분당 60~100회
- 심실빈맥: 분당 100~250회 이상의 빠른 심실 박동
🩺 주요 정보 요약:
항목설명
🧬 발생 위치 |
심장의 심실(Ventricle) |
🚨 응급성 |
생명을 위협할 수 있음 (심정지 위험) |
⚠️ 주요 증상 |
어지럼증, 실신, 가슴 통증, 심한 경우 의식 소실 |
🧪 진단 방법 |
ECG(심전도), 홀터 모니터링 등 |
💊 치료 |
약물(항부정맥제), 전기적 제세동, 심장 제세동기 삽입(ICD) |
❓ 자주 묻는 질문 (FAQ)
질문답변
V-TAC은 생명을 위협하나요? |
예, 치료하지 않으면 심정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심실빈맥과 심방세동의 차이는? |
위치가 다릅니다. V-TAC은 심실, 심방세동(AF)은 심방에서 발생합니다. |
일시적인 V-TAC도 위험한가요? |
빈도와 지속 시간에 따라 위험도 다르며, 반드시 전문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
🫀 V-TAC ECG (심전도) 예시 특징
항목특징
리듬 |
규칙적이거나 때때로 약간 불규칙 |
심박수 |
대개 100~250회/분 |
QRS 파형 |
넓은 QRS 복합체 (≥ 120ms) – 비정상적인 심실 전기 신호 |
P파 |
보이지 않거나, QRS와 무관하게 나타남 (심방-심실 이탈) |
AV dissociation |
심방과 심실이 각각 따로 뛰는 모습이 관찰됨 |
🏥 치료 접근 방식 (Ventricular Tachycardia)
1. 📋 기본 평가
- 의식 수준, 호흡, 맥박 확인
- 불안정한 상태라면 즉시 전기적 제세동 시행
2. ⚡ 전기적 치료
상황치료 방법
의식 있음, 불안정한 환자 |
동기화된 전기 심율동전환 (Cardioversion) |
의식 없음 또는 무맥성 V-TAC |
비동기적 제세동 (Defibrillation) + CPR |
3. 💊 약물 치료
약물용도
아미오다론 (Amiodarone) |
가장 흔히 사용되는 항부정맥제 |
리도카인 (Lidocaine) |
두 번째 선택지 |
프로카인아마이드 |
특정 상황에서 사용 가능 |
4. 💡 지속적 관리
치료법설명
ICD 삽입 |
반복성 V-TAC 환자에게 삽입형 제세동기 사용 |
카테터 절제술 |
약물 반응 없는 경우, 비정상 조직 제거 |
❗ 응급 vs 만성 관리 구분
상태치료 우선순위
급성/불안정 V-TAC |
전기적 치료 최우선 |
재발성 V-TAC |
약물 or 절제술 + ICD 삽입 고려
🔋 1. ICD (삽입형 제세동기) 삽입 과정
단계설명
🏥 입원 및 검사 |
심초음파, 혈액검사, 심전도, 홀터 모니터링 등 사전 검사 |
✍️ 시술 동의 |
시술 전 동의서 작성 및 전신 상태 확인 |
💉 국소 마취 |
일반적으로 왼쪽 쇄골 아래에 국소 마취 |
⚙️ 리드선 삽입 |
심장 내부(우심실)에 전극 리드선 삽입 후 위치 확인 |
💾 기기 장착 |
리드선을 ICD 본체에 연결하고 피부 밑에 삽입 |
📡 작동 테스트 |
기기 작동 시험 및 자동 제세동 기능 확인 |
🩹 봉합 및 회복 |
피부 봉합 후 회복실로 이동 → 다음날 퇴원 가능 |
🔥 2. 카테터 절제술 (Catheter Ablation) 절차
단계설명
🏥 입원 및 검사 |
3D 전기맵핑 시스템, 심초음파, CT 등으로 병소 위치 예측 |
🧵 시술 준비 |
국소 또는 진정 마취 후, 사타구니 정맥에 도관 삽입 |
📍 심장 내 접근 |
전기 도관을 심장 내부로 보내 이상 부위 탐색 |
⚡ 고주파 절제 |
고주파 또는 냉각 에너지로 비정상 전기경로 소작 |
✅ 결과 확인 |
재측정 후 이상 리듬 소멸 여부 확인 |
🛌 회복 |
시술 후 관찰 및 당일 또는 익일 퇴원 가능 |
📈 3. V-TAC ECG 예시
**Ventricular Tachycardia (심실빈맥)**의 ECG 예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