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66

소화기계에 대한 이해 및 관리: 간호사를 위한 안내서 소화계는 인체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간호사로서 우리는 환자에게 가능한 최상의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그것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확실히 이해해야 합니다. 신규 간호사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소화 시스템에 대한 개요를 제공하여 그들이 잠재적인 문제를 식별하고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는 능력에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소화시스템은 무엇인가 먼저 소화 시스템이 무엇이며 왜 그렇게 중요한지에 대해 이야기해 봅시다. 소화 시스템은 음식을 분해하고, 영양분을 추출하고, 몸에서 노폐물을 제거하기 위해 함께 작용하는 기관과 조직의 복잡한 네트워크입니다. 여기에는 입, 식도, 위, 소장 및 대장, 췌장, 간, 담낭 등이 포함됩니다. 소화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면 건강을 유지하고 노폐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 2023. 4. 11.
피부반응검사(AST) : anti skin test 피부반응검사(AST) : anti skin test 항생제 피부반응검사 항생제 피부반응검사란 말 그대로 몸에 특정 물질(항생제)을 주입했을 때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나는지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최근에는 채혈 없이 패치형 센서를 부착하거나 침습성 바늘 대신 비침습성 바늘을 이용함으로써 환자에게 고통을 주지 않고 간편하게 검사할 수 있는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피부반응검사 시 주의사항 가장 중요한건 투여 후 15분 이내에 결과를 판독해야하기 때문에 병원에 도착하자마자 시행하여야 한다는 점입니다. 만약 양성인 경우 2차 테스트를 진행하게 되는데 이때는 1차때와는 다른 종류의 항생제를 사용하므로 이전과는 다른 약제에 대해 과민반응이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피부반응검사 방법 anti skin test ① 약.. 2023. 4. 6.
배설, 배뇨 간호 : 관장, 단순&유치도뇨, 인공항문(장루)관리 배설, 배뇨 간호 관장 글리세린 관장 목적 윤활작용을 주어 변을 부드럽게 배출시키기 위함 준비물 글리세린, 생리식염수, Sugical glove, Rectal tube 관장 방법 글리세린 30cc + 생리식염수 30cc mix 하여 항문으로 주입 케이다운 관장 목적 혈액 내 k 수치를 낮추기 위해, 고칼륨혈증 시 (특히 급성 신부전으로 oliguria 핍뇨나 anuria 무뇨로 온 경우) 준비물 케이다운 현탁액 1 (1회용), Sugical glove, Rectal tube 관장 방법 케이다운 현탁액을 항문으로 서서히 주입 락투즈(모니락, 듀파락) 관장 목적 결장 내로 약물을 투여하기 위함 (간성 혼수 환자의 경우) 준비물 듀파락시럽(200cc) + 크린조(200 cc), Sugical glove, Re.. 2023. 4. 5.
고칼륨혈증 (hyperkalemia) 고칼륨혈증이란 고칼륨혈증이란 혈액 내 칼륨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증가되어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정상범위는4.5~5.5 mEq/L이지만 경우 응급상황입니다. 이 질환은 주로 이뇨제나 설사약 등 약물복용과 관련해서 발생하며 신장기능 이상과도 연관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원인불명이며 유전성질환이기도 합니다. 또한 특별한 증상이 없이 혈청 칼륨농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건강검진 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고칼륨혈증이면 무조건 위험한가요? 일반적으로 고칼륨혈증은 생명을 위협하는 치명적인 질환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환자마다 예후가 다양한데 어떤 환자는 별다른 치료 없이 회복되기도 하고 심한 경우 사망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정확한 진단 후 신속하게 치료해야 하는 질병입니다. 고칼륨혈증은 어떻게 알 수 .. 2023. 4. 4.
호흡기계 간호 : 산소요법, 흡입요법, Nebulizer 호흡기계(Respiratory system)란 공기중에 산소를 받아들여 혈액에 내보내고 혈액 중의 이산화탄소를 공기중으로 내보내는 작용으로 상부호흡기계, 하부호흡기계로 나누어 집니다. 호흡기계 간호중 산소요법, 흡입요법, Nebulizer에 대한 정리입니다. 상부호흡기계 : 바깥코, 코안, 인두, 후두 하부호흡기계 : 기관, 기관지, 폐, 가슴막 산소요법 정의 산소결핍증의 치료를 목적으로 공기 중에 함유된 산소 농도(21%)보다 높은 농도의 산소를 흡입시키는 방법입니다. 목적 저산소증(Hypoxia, Hypoxemia)의 완화 및 예방 조직에 나타난 생리적 이상의 회복 심근 운동 부하 감소 호흡 운동 부하 감소 적응증 저혈압, 고혈압, 빈호흡, 청색증 등 종류 및 특징 1. 비강 캐뉼라 (nasal ca.. 2023. 4. 4.
기본간호 : I/O check (섭취량, 배설량, 정상범위, negative, positive) I/O (input& output) I/O 섭취량과 배설량은 기본간호에서 중요한 지표입니다. 섭취량과 배설량의 균형이 맞는지 알아보기 위해 측정을 하고 맞지 않을 경우 적절한 처치 등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I/O란 무엇인지, 목적, 과정 및 환자 간호에 대해 알아봅니다. I/O의 정의와 목적 I/O란 체내에 들어간 양과 나온 양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수분이동과 조절기능을 파악하여 체액 균형을 사정하기 위함으로 하루에 섭취하는 열량, 수액량과 그에 따른 배설량을 평가하여 영양상태를 파악하기 위함입니다. 투여되는 약이 신체에 미치는 효과(이뇨제, 뇌압하강제 등)와 배액처치의 경우 정확한 배액량을 측정하기 위함입니다. Input : 음식, 물, 수액, 혈액 Output : 배액관, 소변, 대변, 수술부위.. 2023. 4. 1.
용량 계산이 필요한 약품 약품명 의사처방입력 내용 투여 량 투여단위 프라그민 주 10,000IU/4ml 0.5 2ml (cc) 5,000 IU 0.6 2.4ml(cc) 6,000 IU 0.65 2.6ml(cc) 6,500 IU 0.7 2.8ml(cc) 7,000 IU 0.75 3ml(cc) 7,500 IU 0.8 3.2ml(cc) 8,000 IU 약품명 의사처방입력내용 투여 량 투여단위 헤파린 주(중외) 20,000 IU /20ml 0.25 5 ml (cc) 5,000 Unit 0.2 4 ml (cc) 4,000 Unit 0.15 3 ml (cc) 3,000 Unit 0.1 2 ml (cc) 2,000 Unit 약품명 의사처방입력내용 투여 량 투여단위 헤파린 주 (중외) 25,000IU/5ml 0.2 1 ml(cc) 5,000 .. 2023. 3. 30.
와파린 - 복용법, 식생활, 주의사항 와파린이란? 와파린은 항응고 약물입니다. 항응고 약물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서 몸 안에 불필요한 혈전(혈액응고 덩어리)의 생성을 억제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혈전은 혈관을 따라 몸안을 돌아다니다가 혈관을 막으면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혈전이 뇌로 흘러 들어가 혈관을 막는다면 뇌졸중을 일의 킬 수 있습니다. 올바른 와파린 복용법 의사가 지시한 바에 따라 와파린의 정확한 용량을 매일 일정한 시간에 복용하십시오. 복용량은 의사가 혈액검사 결과를 기본으로 하여 결정합니다. 프로트롬빈 타임은 환자마다 다르게 나타나며 이에 따라 와파린 용량을 결정하므로 복용량은 환자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한 환자에 있어서도 혈액검사의 결과에 변화가 있을 때에는 복용량을 변경해야 합니다. 와파린 복용하는 것을 .. 2023. 3. 30.
유치도뇨관 관리지침 - 삽입, 소변백 관리, 검체 채취 유치도뇨관 삽입 시 1. 유치도뇨관 삽입 시 무균적으로 삽입한다. 2. 유치도뇨관은 정기적으로 교체하지 않는다. 3. Closed system(폐쇄도뇨 시스템)을 유지한다. 4. 유치도뇨관 line이 꼬이거나 당겨지지 않도록 정확한 위치에 고정한다. 5. 정기적인 bladder irrigation 하지 않으며 반드시 필요한 경우 무균적으로 시행한다. 유치도뇨관 삽입환자 소변백 관리 1. 소변백은 소변이 역류되지 않도록 항상 환자 방광 아래 위치하도록 한다. 2. 소변백이 병실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한다. 3. 환자 검사나 이동 시 항상 유치도뇨관 clamping 여부를 확인한다. 4. 소변백이 2/3 이상 넘지 않도록 하고 소변백 조작 시 무균적으로 관리한다. 5. 소변백을 비울 때는 환자 개별 소변기를 .. 2023. 3. 29.
PICC : 말초삽입형중심정맥카테터 PICC : 말초삽입형 중심정맥카테터(peripherallyinserted central catheter) 말초 정맥으로 카테터를 삽입해 상대정맥(위대정맥, superior vena cava)까지 진행시켜 유치하는 방법 PICC는 수액이나 혈액, 총 비경구영양 등 장기간 대량투여 시 말초정맥 혈관의 확보 어려움이 있을 때 시행합니다. 팔의 두꺼운 정맥혈관을 초음파를 보면서 관을 넣어 중심정맥관에 카테터를 도달하게 하고 삽입 후 약간의 출혈, 2~3일간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관을 봉합한 게 아니어서 관이 당겨지지 않도록 합니다. 샤워 시 삽입부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합니다. 무거운 물건을 들지 않도록 합니다. 의료진에게 알려야 하는 것! 출혈, 고름이나 진물, 통증 삽입한 쪽 팔, 얼굴의 .. 2023. 3. 28.
손 위생 - 감염 손위생 프로세스 ⋆손위생을 수행해야 하는 시점 : ① 환자 접촉 전 ② 청결‧무균 처치 전 ③ 체액 노출위험 후 ④ 환자 접촉 후 ⑤ 환자주변 접촉 후 구분 상황 프로세스 (손위생 순서) 투약 ‣ 투약준비 ②투약 준비 ‣ 투약 시(경구약) ②(포장) 경구약 배부 ‣ 투여 시(주사제) ②알코올 솜으로 주사부위 소독→주사제 투여→주사제 제거→물품 정리③ 활력증후/신체검진 ‣ 표준주의 환자 ①활력징후 측정/신체검진→알코올 솜으로 체온계/청진기 환자 접촉면 소독④ ‣ 접촉주의 환자 ①가운착용→장갑착용→활력징후 측정/신체검진→알코올 솜으로 체온계/청진기 환자 접촉면 소독→장갑벗기→가운 벗기④ 소변백/배액관리 ‣ 한 환자 ②장갑착용→입구 개봉 후 소변백/배액 주머니 비우기→알코올 솜으로 입구를 닦은 후 막기→소변배.. 2023. 3. 27.
의학용어 - 콩팥내과(KD) 콩팥내과 의학용어 약어 APN acute pyelonephritis 급성신우신염 AVF arteriovenous fistula 동정맥루 AVG arteriovenous graft 동정맥이식 AKI aute kidney injury 급성신부전 cellulitis 봉와직염 CKD Chronic Kidney Disease 만성신부전 CRRT contin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지속적 신대체 요법 cystitis DVT Deep vein thrombosis 심부정맥혈전증 DI Diabetes insipidus 요붕증 DM Diabetes melitus 당뇨병 diabetic ketoacidosis 당뇨케톤산증 ESRD End stage renal disease 말기신질환 FBS Fa.. 2023. 3. 26.
기관지 내시경 : 후두 내시경 (Bronchoscopy) 기관지 내시경 검사는 기관지경을 사용하여 기도와 폐를 검사하는 진단 및 치료 절차입니다. 기관지경은 코나 입을 통해 기도로 삽입되는 카메라와 광원이 있는 얇고 유연한 튜브입니다. 기관지경 검사는 감염, 종양, 염증 및 출혈과 같은 다양한 폐 및 기도 상태를 진단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폐 조직 샘플을 얻고, 이물질을 제거하고 특정 상태를 치료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유형의 기관지경 검사, 절차, 적응증, 위험 및 가능한 합병증에 대해 알아봅시다. 기관지경 검사의 종류 기관지경 검사에는 굴곡성 기관지경 검사와 경직성 기관지경 검사의 두 가지 주요 유형이 있습니다. 1. 굴곡성 기관지경 굴곡성 기관지경 검사는 가장 일반적인 유형의 기관지경 검사입니다. 얇고 유연한 기관지경을 코나 .. 2023. 3. 24.
간 및 담도계 종합 가이드 간과 담도계는 전반적인 건강과 웰빙을 유지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중요한 기관입니다. 간은 몸에서 가장 큰 내장 기관으로 무게는 약 3파운드이며 복부의 오른쪽 상단에 있습니다. 담즙계에는 지방을 분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소화액인 담즙을 생성하고 운반하기 위해 함께 작용하는 담낭과 담관이 포함됩니다. 간 및 담도계의 해부학 간은 우엽과 좌엽의 두 개의 주요 엽으로 나뉘며 각 엽은 더 작은 소엽으로 더 나뉩니다. 담낭은 간 아래에 위치한 배 모양의 작은 기관으로 담즙을 저장했다가 필요에 따라 소장으로 방출합니다. 담관은 간, 담낭 및 소장을 연결하는 튜브 네트워크로, 담즙이 간에서 담낭으로 그러고 나서 소장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합니다. 간 기능 간은 혈당 수치 조절, 단백질 생성 및 합성, 비타민과 미.. 2023. 3. 22.
만성폐쇄성폐질환(COPD-Chronic obstruction pulmonary disease) 만성폐쇄성폐질환(COPD-Chronic obstruction pulmonary disease)은 전 세계 수백만 명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진행성 호흡기 질환입니다. COPD가 무엇인지, 그 원인, 증상 및 치료법은 물론 상태를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COPD란 만성폐쇄성폐질환이라는 뜻으로 폐기능이 저하되어 호흡곤란과 기침 등의 증상이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이 질환은 흡연자에게서 주로 나타나는 병이지만 최근에는 미세먼지나 대기오염등 환경변화로 인해 비흡연자에게도 많이 나타나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40세 이상 성인 10명 중 1명이 앓고 있을 정도로 흔한 질병이며 사망률 또한 높은 편이기 때문에 주의해야 하는 질병입니다. 어떤 증상이 .. 2023. 3.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