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간지백-내과편184

매독 반드시 알아야 할 필수 정보 📋 목차매독의 정의와 감염 경로매독의 주요 증상 및 진행 단계매독 진단 방법과 검사 절차매독 치료법과 치료 시 주의사항매독의 합병증과 장기적인 영향매독 예방법과 안전한 성생활매독 관련 자주 묻는 질문 (FAQ)매독은 트레포네마 팔리둠(Treponema pallidum)이라는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성병이에요. 감염되면 다양한 신체 부위에 영향을 미치고, 치료하지 않으면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요. 이 질병은 성 접촉을 통해 전파되는 경우가 가장 많지만, 드물게는 임신 중 태반을 통해 태아에게 감염될 수도 있어요. 따라서 조기 발견과 치료가 매우 중요하답니다. 매독은 초기에 치료하면 완치가 가능하지만, 방치하면 심각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요. 특히 신경계와 심혈관계에 영향을 미쳐 치명적인 결.. 2025. 2. 17.
⚠️ 부정맥 무시하면 돌연사 위험! 꼭 알아야 할 점 📋 목차📌 위험한 부정맥 유형📌 부정맥 환자가 겪는 불편함📌 돌연사 예방 심장 관리법📌 심장에 무리 가지 않게 생활하는 법📌 부정맥 치료 후 관리 중요성📌 심장 건강 필수 검진 리스트📌 부정맥 관련 자주 묻는 질문 (FAQ)부정맥은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는 증상으로, 이를 방치하면 돌연사로 이어질 위험이 있어요. 특히 심장이 너무 빠르게 뛰거나, 갑자기 멈추는 경우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답니다. 많은 사람들이 부정맥 증상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지만, 이는 건강을 위협하는 신호일 수도 있어요. 평소 가슴 두근거림, 어지러움, 실신 등의 증상이 있다면 즉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중요하답니다. 이 글에서는 위험한 부정맥 유형부터, 환자들이 겪는 불편함, 돌연사 예방 방법까지 자세히 알아볼 거예.. 2025. 2. 16.
대상포진 초기증상 무시하면 위험하다! 📋 목차대상포진의 첫 번째 신호, 바로 이 증상대상포진 피부발진, 다른 질환과 구별법대상포진 통증이 심해지는 이유대상포진 약, 언제부터 먹어야 효과 있을까?대상포진 초기 대처법, 빠른 치료가 핵심병원 안 가고 버티면 생기는 끔찍한 결과대상포진 자주 묻는 질문 (FAQ)대상포진은 면역력이 약해졌을 때 발생하는 질환으로, 신체 한쪽에 통증과 함께 발진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에요. 보통 수두 바이러스가 신경을 따라 활성화되면서 발생하며, 초기 증상을 무시하면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요. 대상포진의 초기 증상은 감기나 근육통과 비슷해 방치하기 쉬운데요. 하지만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신경통이 심해지고, 심한 경우 실명이나 청력 손실 같은 후유증이 남을 수도 있답니다. 따라서 첫 번째 신호를.. 2025. 2. 15.
혈당 조절 실패? 당뇨병 관리법 모르면 후회한다 📋 목차혈당 수치 정상 범위와 위험 신호식단 관리 필수 음식과 피해야 할 음식운동으로 당뇨병 개선 가능한가?인슐린 치료, 꼭 필요한 사람은?스트레스와 당뇨, 위험한 연결고리당뇨 예방 가능한가? 전문가 의견당뇨병 관련 자주 묻는 질문 (FAQ)당뇨병은 혈당 조절이 제대로 되지 않을 때 발생하는 질환으로, 생활 습관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요. 특히 혈당 수치를 정상 범위 내에서 유지하지 못하면 합병증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죠. 많은 사람들이 혈당 조절을 위해 식단 조절이나 운동을 시도하지만, 효과적인 방법을 모르고 시행하면 오히려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도 있어요.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혈당 정상 수치, 위험 신호, 필수 음식, 운동, 인슐린 치료 필요 여부 등 당뇨병 관리법에 대해 자세.. 2025. 2. 15.
두창과 비슷한 질병, 어떻게 구별할까? 📋 목차두창 vs. 수두, 차이점 정리두창과 원숭이두창, 증상 비교두창과 홍역, 헷갈리지 말자!두창 감염과 단순 피부 질환 감별법두창과 기타 바이러스성 감염 차이두창 감염 여부 자가진단 가능할까?두창 관련 자주 묻는 질문 (FAQ)두창(천연두)은 역사적으로 가장 치명적인 감염병 중 하나였어요. 하지만 오늘날 두창과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질병이 많아 혼란스러울 수 있죠. 특히 수두, 원숭이두창, 홍역 등은 발진이 생긴다는 점에서 두창과 혼동되기 쉬워요. 이 글에서는 두창과 비슷한 질병들을 비교하고 어떻게 구별할 수 있는지 알아볼게요. 각 질병의 주요 증상, 감염 경로, 심각성 등을 정리해 확실한 차이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드릴게요. 두창은 1980년 WHO에 의해 박멸 선언되었지만, 여전히 생물학적 위.. 2025. 2. 14.
노로 바이러스란? 감염 경로부터 증상까지 📋 목차노로 바이러스 주요 감염 원인, 이것만은 피하자!노로 바이러스 예방 필수 수칙, 이 방법이면 걱정 끝감염 시 대처법, 이걸로 회복 속도 높이자노로 바이러스와 식중독 차이, 헷갈리면 위험하다노로 바이러스 감염 사례, 이렇게 퍼진다!노로 바이러스 관련 자주 묻는 질문 (FAQ) 노로 바이러스는 겨울철 식중독의 대표적인 원인 중 하나예요. 감염력이 매우 강하고, 소량의 바이러스만으로도 쉽게 퍼질 수 있죠. 주로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통해 전파되며, 감염 시 심한 구토와 설사를 유발해요. 특히 위생 관리가 부족한 환경에서는 집단 감염이 발생하기 쉬워요. 학교, 병원, 요양원 같은 곳에서는 한 명이 감염되면 빠르게 확산될 수 있답니다. 노로 바이러스는 누구나 감염될 수 있으며, 면역력이 낮은 어린이나 노.. 2025. 2. 12.
콩팥 건강 지키는 간호방법, 안 보면 후회! 📋 목차콩팥내과 간호의 기본 개념만성 신부전 환자 간호 핵심 포인트신장 질환 환자의 식이요법과 간호투석 환자 간호, 이것만은 꼭 알아두자!신장 기능 저하 징후 및 응급 대처법콩팥내과 간호 시 기록 및 모니터링 요령콩팥내과 간호 관련 자주 묻는 질문 (FAQ)콩팥(신장)은 우리 몸에서 노폐물을 제거하고 수분과 전해질 균형을 조절하는 중요한 기관이에요. 하지만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신장 기능이 저하되면 건강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요. 특히 만성 신부전, 급성 신부전, 신증후군 등의 질환은 적절한 간호가 필수적이죠. 콩팥내과 간호는 신장 질환 환자들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합병증을 예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요. 투석 치료가 필요한 환자, 식이 조절이 필요한 환자, 수분 및 전해질 균형이 중.. 2025. 2. 9.
종양 표지자 검사에 대해 알아보자 종양 표지자 검사는 종양의 존재와 발생 가능성을 확인하는 데 사용되는 검사 방법입니다. 이러한 검사는 종양의 초기 발견과 치료 계획 수립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종양은 암의 일반적인 형태로 알려져 있으며,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기 위해서는 종양 표지자 검사가 필수적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종양 표지자 검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종양 표지자 검사의 의미 종양 표지자 검사는 특정 조직이나 장기에서 암 세포의 활동을 추적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종양 표지자란 암 세포의 활동을 나타내는 특정한 단백질, 효소, 유전자 등을 말합니다. 종양 표지자 검사는 혈액, 소변, 조직 등 다양한 체액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종양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종양의 크기, 위치, 성장 속도 등을 평가하는 데 도움.. 2023. 9. 22.
부신피질 기능저하증: 그 원인과 증상들 부신피질 기능저하증은 부신에서 발생하는 문제로, 부신의 중요한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합니다. 이러한 상태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다양한 증상들이 나타납니다. 이번 글에서는 부신피질 기능저하증의 주요 원인과 증상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부신피질 기능저하증 원인 부신피질 기능저하증은 주로 부신에서 호르몬인 코르티솔을 생성하는 데 필요한 부신 피질 세포의 기능 저하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런 세포의 기능 저하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한 원인은 만성적인 스트레스입니다. 지속적인 스트레스는 부신을 지치게 하고 코르티솔 생성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부신에서 발생하는 질환인 부신부종이나 부신염, 그리고 유전적인 요인도 부신피질 기능저하증의 원인이 .. 2023. 9. 20.
뇌하수체 전엽에 대한 이해 뇌하수체는 인체의 중요한 내분비 기관 중 하나로, 여러 가지 호르몬을 분비하여 우리 몸의 여러 기능을 조절합니다. 뇌하수체는 뇌의 일부분에 위치하며, 뇌하수체의 전엽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뇌하수체 전엽의 역할 뇌하수체 전엽은 성장 호르몬, 갑상선 자극 호르몬, 부신 자극 호르몬 등 다양한 호르몬을 분비하여 우리 몸의 성장, 대사, 생식 등을 조절합니다. 성장 호르몬은 우리가 성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갑상선 자극 호르몬은 갑상선의 기능을 조절하여 우리 몸의 에너지 수준을 조절합니다. 또한, 부신 자극 호르몬은 부신의 활동을 촉진하여 스트레스 대응, 면역 기능 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뇌하수체 전엽은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호르몬들을 통해 우리의 신체 조.. 2023. 9. 18.
캡슐내시경 검사법과 준비사항 캡슐 내시경 검사법 검사 전처치 환자에게 캡슐내시경 검사의 목적, 준비 사항, 시술 과정, 검사 후 유의사항과 가능한 합병증 등 자세한 설명을 하고 동의서를 받는다. 캡슐내시경의 금기에 해당되는 장협착, 연하 곤란, 임신 가능성, 예정된 MRI검사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또한 소아 환자, 심한 복부 비만, 젠커 게실 등은 상대적인 금기증으로 캡슐내 시경을 시행할지 재고가 필요하다. 병력 청취시에 NSAID, 철분제제 복용, 과거 수술력, 방사선 치료, 크론병 유무, 인슐린 주사, 수혈 양, 대변색 등을 물어 검사 전 준비와 판독에 참조한다. 캡슐내시경 검사는 일반 내시경같이 장 내부를 세척이나 흡인으로 깨끗이 할 수 없어 정확한 판독을 위해 적절한 전처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검사 3일 전부터 철분제제 복용.. 2023. 9. 17.
Cardiac Enzymes: 심장 효소검사 수치, 정상치, 목적, 방법 심장은 우리 몸에서 가장 중요한 장기 중 하나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심장 건강을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심장 건강을 평가하고 문제를 진단하는 데 도움이 되는 여러 가지 검사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심장 효소 검사는 심장 건강을 평가하는 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검사입니다. 심장 효소란? 심장 효소는 심장 조직 손상이 발생할 때 혈액 내에서 방출되는 특정한 유전물질입니다. 이 효소는 심장 세포가 손상되거나 파괴될 때 혈류로 흘러나오며, 심장 조직 손상의 정도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주요한 심장 효소에는 CK-MB, 트로포닌(Troponin) 및 라크테이트 디하이드로제나아제(LDH) 등이 있습니다. 심장 효소 검사의 의미 심장 효소 검사는 심근 조직의 손상 여부를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2023. 9. 17.
황달의 원인과 진단, 치료 방법 : 간이 망가지는 질환 황달은 간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때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간은 우리 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간은 독소를 제거하고, 당분 관리, 단백질 제조, 담즙 분비 등의 기능을 담당합니다. 그러나 간에 문제가 생기면 적절한 치료를 하지 않으면 황달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황달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간 질환, 간염, 약물 중독, 식이 요인 등이 황달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원인들은 간 기능을 저하시키고, 간세포의 손상을 초래합니다. 이에 따라 간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황달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황달은 일반적으로 노란색 색소가 피부와 눈의 백반에 나타나며, 손발의 가려움증, 무기력 등의 증상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황달이 의심되면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적절한 치료를 받.. 2023. 9. 4.
저혈당 : 증상 수치 쇼크 원인 증세 응급처치 저혈당이란 저혈당은 혈액 중의 포도당(혈당) 수준이 정상 수치보다 낮아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혈당 수준이 70mg/dL(3.9mmol/L) 이하로 떨어지면 저혈당으로 분류됩니다. * 대한 당뇨병학회에서 권장하는 혈당 값 시간 정상 당뇨전단계 당뇨관리필요 공복 99 이하 100~125 126 이상 식후 1시간 180 이하 200 이상 200이상 식후 2시간 140 이하 140~199 200이상 저혈당 원인 저혈당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 장애입니다. 인슐린 및 혈당 조절 약물의 과다 복용, 식사를 건너뛰거나 불규칙하게 섭취하는 경우 혈당 수준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신체 활동의 증가, 음주, 일부 약물의 부작용, 기타 건강 상태(간질환, 신장 기능 장애 등)도 저혈당.. 2023. 5. 18.
호흡기 바이러스 : 구조, 증상, 진단, 예방, 관리 호흡기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은 의료관련감염의 흔한 원인되며, 특히 입원한 소아에게 발생하는 감염의 상당부분을 차지합니다. 호흡기 바이러스에는 다음의 종류가 있습니다. I.인플루엔자 바이러스 II.RSV(RSV Respiratory syncytial virus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III.아데노바이러스 IV.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V.라이노바이러스 Influenza RSV Adenovirus PIV Rhinovirus 구조 및 타입 A,B,C형 A,B형 41가지의 혈청형 4가지의 혈청형 100가지 이상의 혈청형 감염 •비말전파(호흡기로 전염) •하기도호흡기 감염의 주원인 •주로 점막(눈,코,입)접촉으로 감염 •호흡기, 눈의 점막 •분변-경구(가장 흔한 경로 •기관기관지염의 가장 흔한 원인 •직접 접촉,.. 2023. 5. 4.
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 (CDI) 용어정의 C.difficile(Clostridium difficile) : 클로스트리디움디피실 감염의 원인균 CDI (Clostridium Difficile Infenciton) :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 감염 CDAD (Clostridium Difficile – Associated Disease) :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 관련 감염 PMC(Pseudomembraneous Colitis) : 위막성대장염 (CDI에 심한 경우) Clostridium difficile (C.difficile) 혐기성 그람 양성 간균 아포를 생성하며 알코올을 포함하는 다양한 소독제에 내성을 보이기 때문에 환경오염이 장기화되기 쉽고 의료진에 의한 전파 가능성이 높음 의료진의 손과 의료 환경에서 아포(spore)가 발견 오염된 환.. 2023. 5. 3.
로타바이러스 감염관리 지침 2023. 5. 2.
감염성 질환자 격리 절차 및 관리지침 2023. 5. 2.
다제내성균 종류별 격리 해지 및 관리지침 다제내성균 종류별 격리 해지 및 관리지침 균주별 VRSA/VISA VRE MRSA MRPA/MRAB *CRE/CPE 병실사용 1인실 격리 격리실 또는 코호트 코호트 권장 코호트 권장 1인실 격리 물품준비 개별 의료기구 개별 의료기구 개별 의료기구 권장 개별 의료기구 권장 개별 의료기구 손위생 환자 접촉 전, 후 및 환자 주변물품 접촉 후 손위생 시행 장갑 항상 착용 항상 착용 착용권장 오염 우려 시에는 반드시 착용 착용권장 오염 우려 시에는 반드시 착용 항상 착용 가운 항상 착용 항상 착용 착용권장 오염 우려 시에는 반드시 착용 착용권장 오염 우려 시에는 반드시 착용 항상 착용 환자이동 일회용비닐가운 또는 새 환의 이송용구 소독 일회용비닐가운 또는 새 환의 이송용구 소독 오염 우려의 창상 은 드레싱유지 .. 2023. 5. 1.
GFR 사구체여과율 : 정상수치, 계산법 GFR 계산 / 신사구체여과율 계산기 (140-나이) x 체중 / 72 x 혈중 Cr 농도 https://www.ksn.or.kr/general/about/check.php 대한신장학회 나의 콩팥 기능은? 사구체여과율을 계산하는 CKD-EPI 공식을 이용해 신장의 기능을 평가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사구체여과율(GFR)은 신장의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수치입니다. 신 www.ksn.or.kr GFR 정상수치 : 80-120 ml/min 1단계 : 90 + 정상에 비해 신장기능 경미하게 감소 2단계 : 60-89 신장기능 약간 감소 3단계 : 30-59 신장기능 중간정도 감소 (신부전시작) 4단계 : 15-29 신장기능 심각한 손상 5단계 14이하 투석이나 신장이식이 필요한 상태 (신장병 마.. 2023. 4. 26.
복막투석 방법, 과정, 주의사항, 부작용, 혈액투석 복막투석(peritoneal dialysis)이란 신장 기능이 없는 신부전 환자에게서 몸 안의 노폐물과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시행하는 투석의 일종 준비사항 ● .투석 도관을 뱃속(복강)에 삽입하는 수술은 입원하여 국소 마취 또는 전신 마취 하에 시행하며, 시술 후 3~4일 만에 퇴원이 가능하다. (외과 협진) ● 수술 후 2주 정도가 경과하여 완전히 아물게 되면 복막 투석을 시작한다. 투석액을 교환할 때는 바람이나 먼지가 없는 청결한 장소에서 시행한다. 애완용 동물은 금물이다. 과정 ● 복막투석실에 들어가 창문을 닫고 손을 깨끗이 씻고 마스크를 착용한다. ● 머리 높이 정도에 미리 데워둔 투석액을 걸어놓고, 앉은 자세에서 몸에 연결된 도관과 투석액의 라인을 연결한다. ● 뱃속의 투석액을 먼저 비우고 새로.. 2023. 4. 23.
혈액투석 (hemodialysis) 환자 : 적응증, 접근로, 동정맥루, 간호, 식이요법 혈액투석 이란 (hemodialysis) 몸의 피를 일부 뽑아 그 속의 찌꺼기만 걸러서 버리고, 깨끗해진 피를 다시 몸 속에 집어넣어 주는 것 혈액투석 적응증 당뇨병, 고혈압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콩팥 기능이 점점 나빠져서 마침내 제 기능을 못하게 되면, 소변으로 나가야 할 노폐물이 우리 몸에 쌓이게 되고 그럴수록 환자는 기운이 없고, 쉽게 피곤하고, 밥맛이 없으며, 구토하기도 한다. 또한 심장 기능과 혈관 기능도 점점 나빠지게 되고 상처가 잘 낫지 않으며, 피가 잘 멎지 않기도 한다. 때에 따라선 성격이 변하기도 하고, 의식을 잃기도 한다. 우리 몸의 균형이 깨지면서 심한 경우 심장 마비나 심부전이 오기도 한다. 이러한 증상을 완화 시키기 위해 인공적으로 기계를 이용하여 노폐물을 거르고 깨끗한 피를 다.. 2023. 4. 19.
가정용 산소치료 서비스 이용안내 산소치료 서비스 임대 절차 산소 치료 서비스 임대 절차 1. 전문의로부터 산소치료 처방전 발급 2. 업체에 서비스 신청 및 방문설치 / 계약 3. 서류 제출 - 건강보험공단 요양비 지급청구, 한전 할인 신청 서류 업무 4. 정기점검 및 서비스 1. 처방전 발급 병원에서 90일간의 적절한 치료를 받으신 후 산소치료처방전을 받습니다. 입원일+투약일+진료일의 총합 90일 초과 산소치료처방전은 동맥혈 가스 검사가 가능한 병원(대학병원, 종합병원 등)에서 발행 중증의 만성심폐질환자 등 산소치료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자 중 90일 동안의 적절한 내과적 치료 후 (90일 미만의 신생아의 경우 사전 내과적 치료기준 폐지) 별도로 시행된 동맥혈 가스검사 또는 산소포화도 검사 결과가 해당되는 경우 동맥혈 가스검사 산소포화.. 2023. 4. 17.
인슐린 주사 펜 종류 인슐린 주사 종류 성분명 상품명 Onset Peak Duration Rapid Acting 초속효성 aspart NovoRapid / 피아스프 10-15min 1-1.5hr 3-5hr glulisine Apidra lispro Humalog Short Acting 속효성 Regular Humulin R 30-45min 2-3hr 6.5hr Novolin gr Toronto Intermeditate 중간형 NPH Humulin N 1-3hr 5-8hr 14-18hr Novolin ge NPH Long Acting 지속형 determir Levemir 1-2hr 8-10hr 12-24hr glargine Lantus , 투제오 1-2hr no peak 22-24hr Degludec 트레시바 2hr no pe.. 2023. 4. 16.
소화기계에 대한 이해 및 관리: 간호사를 위한 안내서 소화계는 인체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간호사로서 우리는 환자에게 가능한 최상의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그것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확실히 이해해야 합니다. 신규 간호사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소화 시스템에 대한 개요를 제공하여 그들이 잠재적인 문제를 식별하고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는 능력에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소화시스템은 무엇인가 먼저 소화 시스템이 무엇이며 왜 그렇게 중요한지에 대해 이야기해 봅시다. 소화 시스템은 음식을 분해하고, 영양분을 추출하고, 몸에서 노폐물을 제거하기 위해 함께 작용하는 기관과 조직의 복잡한 네트워크입니다. 여기에는 입, 식도, 위, 소장 및 대장, 췌장, 간, 담낭 등이 포함됩니다. 소화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면 건강을 유지하고 노폐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 2023. 4. 11.
고칼륨혈증 (hyperkalemia) 고칼륨혈증이란 고칼륨혈증이란 혈액 내 칼륨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증가되어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정상범위는4.5~5.5 mEq/L이지만 경우 응급상황입니다. 이 질환은 주로 이뇨제나 설사약 등 약물복용과 관련해서 발생하며 신장기능 이상과도 연관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원인불명이며 유전성질환이기도 합니다. 또한 특별한 증상이 없이 혈청 칼륨농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건강검진 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고칼륨혈증이면 무조건 위험한가요? 일반적으로 고칼륨혈증은 생명을 위협하는 치명적인 질환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환자마다 예후가 다양한데 어떤 환자는 별다른 치료 없이 회복되기도 하고 심한 경우 사망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정확한 진단 후 신속하게 치료해야 하는 질병입니다. 고칼륨혈증은 어떻게 알 수 .. 2023. 4. 4.
호흡기계 간호 : 산소요법, 흡입요법, Nebulizer 호흡기계(Respiratory system)란 공기중에 산소를 받아들여 혈액에 내보내고 혈액 중의 이산화탄소를 공기중으로 내보내는 작용으로 상부호흡기계, 하부호흡기계로 나누어 집니다. 호흡기계 간호중 산소요법, 흡입요법, Nebulizer에 대한 정리입니다. 상부호흡기계 : 바깥코, 코안, 인두, 후두 하부호흡기계 : 기관, 기관지, 폐, 가슴막 산소요법 정의 산소결핍증의 치료를 목적으로 공기 중에 함유된 산소 농도(21%)보다 높은 농도의 산소를 흡입시키는 방법입니다. 목적 저산소증(Hypoxia, Hypoxemia)의 완화 및 예방 조직에 나타난 생리적 이상의 회복 심근 운동 부하 감소 호흡 운동 부하 감소 적응증 저혈압, 고혈압, 빈호흡, 청색증 등 종류 및 특징 1. 비강 캐뉼라 (nasal ca.. 2023. 4. 4.
와파린 - 복용법, 식생활, 주의사항 와파린이란? 와파린은 항응고 약물입니다. 항응고 약물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서 몸 안에 불필요한 혈전(혈액응고 덩어리)의 생성을 억제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혈전은 혈관을 따라 몸안을 돌아다니다가 혈관을 막으면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혈전이 뇌로 흘러 들어가 혈관을 막는다면 뇌졸중을 일의 킬 수 있습니다. 올바른 와파린 복용법 의사가 지시한 바에 따라 와파린의 정확한 용량을 매일 일정한 시간에 복용하십시오. 복용량은 의사가 혈액검사 결과를 기본으로 하여 결정합니다. 프로트롬빈 타임은 환자마다 다르게 나타나며 이에 따라 와파린 용량을 결정하므로 복용량은 환자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한 환자에 있어서도 혈액검사의 결과에 변화가 있을 때에는 복용량을 변경해야 합니다. 와파린 복용하는 것을 .. 2023. 3. 30.
유치도뇨관 관리지침 - 삽입, 소변백 관리, 검체 채취 유치도뇨관 삽입 시 1. 유치도뇨관 삽입 시 무균적으로 삽입한다. 2. 유치도뇨관은 정기적으로 교체하지 않는다. 3. Closed system(폐쇄도뇨 시스템)을 유지한다. 4. 유치도뇨관 line이 꼬이거나 당겨지지 않도록 정확한 위치에 고정한다. 5. 정기적인 bladder irrigation 하지 않으며 반드시 필요한 경우 무균적으로 시행한다. 유치도뇨관 삽입환자 소변백 관리 1. 소변백은 소변이 역류되지 않도록 항상 환자 방광 아래 위치하도록 한다. 2. 소변백이 병실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한다. 3. 환자 검사나 이동 시 항상 유치도뇨관 clamping 여부를 확인한다. 4. 소변백이 2/3 이상 넘지 않도록 하고 소변백 조작 시 무균적으로 관리한다. 5. 소변백을 비울 때는 환자 개별 소변기를 .. 2023. 3. 29.
PICC : 말초삽입형중심정맥카테터 PICC : 말초삽입형 중심정맥카테터(peripherallyinserted central catheter) 말초 정맥으로 카테터를 삽입해 상대정맥(위대정맥, superior vena cava)까지 진행시켜 유치하는 방법 PICC는 수액이나 혈액, 총 비경구영양 등 장기간 대량투여 시 말초정맥 혈관의 확보 어려움이 있을 때 시행합니다. 팔의 두꺼운 정맥혈관을 초음파를 보면서 관을 넣어 중심정맥관에 카테터를 도달하게 하고 삽입 후 약간의 출혈, 2~3일간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관을 봉합한 게 아니어서 관이 당겨지지 않도록 합니다. 샤워 시 삽입부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합니다. 무거운 물건을 들지 않도록 합니다. 의료진에게 알려야 하는 것! 출혈, 고름이나 진물, 통증 삽입한 쪽 팔, 얼굴의 .. 2023. 3.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