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손위생 프로세스
⋆손위생을 수행해야 하는 시점 : ① 환자 접촉 전 ② 청결‧무균 처치 전 ③ 체액 노출위험 후 ④ 환자 접촉 후 ⑤ 환자주변 접촉 후 | ||
구분 | 상황 | 프로세스 (손위생 순서) |
투약 | ‣ 투약준비 | ②투약 준비 |
‣ 투약 시(경구약) | ②(포장) 경구약 배부 | |
‣ 투여 시(주사제) | ②알코올 솜으로 주사부위 소독→주사제 투여→주사제 제거→물품 정리③ | |
활력증후/신체검진 | ‣ 표준주의 환자 | ①활력징후 측정/신체검진→알코올 솜으로 체온계/청진기 환자 접촉면 소독④ |
‣ 접촉주의 환자 | ①가운착용→장갑착용→활력징후 측정/신체검진→알코올 솜으로 체온계/청진기 환자 접촉면 소독→장갑벗기→가운 벗기④ | |
소변백/배액관리 | ‣ 한 환자 | ②장갑착용→입구 개봉 후 소변백/배액 주머니 비우기→알코올 솜으로 입구를 닦은 후 막기→소변배액을 오물 처리싱크에 비우기→장갑벗기③ |
‣ 여러 환자(연속) | ②(장갑착용→입구개봉 후 소변백/배액 주머니 비우기→알코올 솜으로 입구를 닦은 후 막기→소변배액을 오물 처리싱크에 비우기→장갑벗기)→※③/②(괄호)의 내용 repeat③ | |
유치도뇨관 | ‣ 삽입 시 | ②미리 준비된 세트 열기→②멸균장갑 착용→삽관→장갑벗기③→고정→사용한 물품정리③ |
혈관카테터 | ‣ 삽관 시 | ①토니켓 압박→②피부소독→IV 삽입→물품정리③ |
채혈 | ‣ 정맥채혈 시 | ①토니켓 압박→②피부소독→채혈→지혈→검체담기→폐기물버리기(환자 옆에서 버리기)③ |
‣ 혈액배양검사 | ②혈액배양병(2) rubber cap 소독→토니켓 압박→②장갑착용→피부소독→채혈→지혈→검체담기→물품정리→장 갑제거※③/②→혈액배양병(2) rubber cap 소독→토니켓 압박→②장갑착용→피부소독→채혈→지혈→검체담기 →물품정리→장갑제거③ | |
‣ 혈당측정(BST) | ②채혈부위소독→needle(lancet) puncture→혈당 측정→사용한 물품 정리 및 needle, strip등 의료폐기물 처리③ | |
상처관리/드레싱 | ②장갑착용→드레싱 제거→장갑벗기※③/②멸균장갑 착용→피부소독→드레싱 덮기→물품정리→멸균장갑 벗기③ | |
기도 흡인간호 | ②장갑착용→흡인카테터와 suction line 연결 →흡인→카테터 제거→물품 정리→장갑벗기③ | |
체위변경 | ‣ 일반적 사항 | ①침상난간 내림→환자 체위변경→린넨정리→침상난간 올림④ |
‣ 체위변경 시 위생간호 추가 |
①장갑착용→침상난간 내림→대변 등 노출된 체액정리→의료폐기물 처리→장갑벗기③장갑착용→체위변경→환의 및 린넨정리→침상난간 올림→사용한 물품정리→장갑제거④ |
반응형
'간지백-내과편 > 감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타바이러스 감염관리 지침 (0) | 2023.05.02 |
---|---|
감염성 질환자 격리 절차 및 관리지침 (0) | 2023.05.02 |
다제내성균 종류별 격리 해지 및 관리지침 (0) | 2023.05.01 |
유치도뇨관 관리지침 - 삽입, 소변백 관리, 검체 채취 (0) | 2023.03.29 |
PICC : 말초삽입형중심정맥카테터 (0) | 2023.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