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도뇨관 삽입 시
1. 유치도뇨관 삽입 시 무균적으로 삽입한다.
2. 유치도뇨관은 정기적으로 교체하지 않는다.
3. Closed system(폐쇄도뇨 시스템)을 유지한다.
4. 유치도뇨관 line이 꼬이거나 당겨지지 않도록 정확한 위치에 고정한다.
5. 정기적인 bladder irrigation 하지 않으며 반드시 필요한 경우 무균적으로 시행한다.
유치도뇨관 삽입환자 소변백 관리
1. 소변백은 소변이 역류되지 않도록 항상 환자 방광 아래 위치하도록 한다.
2. 소변백이 병실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한다.
3. 환자 검사나 이동 시 항상 유치도뇨관 clamping 여부를 확인한다.
4. 소변백이 2/3 이상 넘지 않도록 하고 소변백 조작 시 무균적으로 관리한다.
5. 소변백을 비울 때는 환자 개별 소변기를 사용한다.
6. 소변백 조작 시 매번 손위생을 실시한다.
7. 소변백을 비우고 난 후 소변백의 배액구를 알코올 솜으로 닦고 반드시 제 위치에 고정한다.
8. 환자 개별 소변기는 매일 100배 락스 희석액에 10분 침적 후 물로 헹구어 사용한다.
유치도뇨관 삽입 환자 소변검체 채취
# 준비물품 : 멸균 주사기, 멸균장갑, 멸균 포타딘(일회용 드레싱 세트), 검체용기
1. 검체 채취 전 손위생을 시행한다.
2. 멸균장갑 착용한다.
3. 검체용 포트를 포타딘으로 소독한다.
4. 멸균주사기로 검체를 채취한다.
5. 검체 채취 후 검체용 포트를 포타딘으로 소독한다.
6. 검체 용기에 검체를 담는다.
7. 장갑 벗은 후 손위생을 시행한다.
유치도뇨관 삽입 환자 소변백 비우기
# 준비물품 : 손소독제, poly glove, 개인소변기, 알코올솜(소변백용)
1. 알코올젤로 손위생 수행한다.
2. poly glove 착용한다.
3. 소변백을 비운 후 알코올 솜으로 배액구를 닦는다.
4. 소변백 배액구를 제위치에 고정한다.
5. 소변백이 바닥에 닿지 않도록 고정한다.
6. 장갑 제거 후 손위생을 시행한다.
'간지백-내과편 > 감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타바이러스 감염관리 지침 (0) | 2023.05.02 |
---|---|
감염성 질환자 격리 절차 및 관리지침 (0) | 2023.05.02 |
다제내성균 종류별 격리 해지 및 관리지침 (0) | 2023.05.01 |
PICC : 말초삽입형중심정맥카테터 (0) | 2023.03.28 |
손 위생 - 감염 (0) | 2023.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