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계(Respiratory system)란 공기중에 산소를 받아들여 혈액에 내보내고 혈액 중의 이산화탄소를 공기중으로 내보내는 작용으로 상부호흡기계, 하부호흡기계로 나누어 집니다. 호흡기계 간호중 산소요법, 흡입요법, Nebulizer에 대한 정리입니다.
- 상부호흡기계 : 바깥코, 코안, 인두, 후두
- 하부호흡기계 : 기관, 기관지, 폐, 가슴막
산소요법
정의
산소결핍증의 치료를 목적으로 공기 중에 함유된 산소 농도(21%)보다 높은 농도의 산소를 흡입시키는 방법입니다.
목적
- 저산소증(Hypoxia, Hypoxemia)의 완화 및 예방
- 조직에 나타난 생리적 이상의 회복
- 심근 운동 부하 감소
- 호흡 운동 부하 감소
적응증
저혈압, 고혈압, 빈호흡, 청색증 등
종류 및 특징
1. 비강 캐뉼라 (nasal cannula) : 가장 흔히 사용. 25~45%의 산소를 주입하기 위해 1~6L/분의 속도로 주입(1~6L/min, FiO2 24~44%)
✔ 간호 시 유의사항
- 산소공급 불안정
- 코나 코 주위 피부손상 주의
- 비강폐쇄, 비강 점막 부종 시 사용 불가
- 입으로 호흡하지 않도록 (코로 들어갔던 공기가 입으로 통해 손실)
2. 단순 안면 마스크 (simple mask) : 단시간(12hr 이내)의 산소요법에 사용. 5~10L/min의 속도로 40~60% 농도의 산소를 전달(6~10L/min, FiO2 40~60%)
✔ 간호 시 유의사항
- FiO2는 환자의 호흡양상에 따라 다름
- 5L이하로 투여 시 CO2 다시 축적됨 (본인이 내뱉은 CO2 다시 흡기하므로)
- 호흡성 알칼리증 환자에게 적용 시 좋음
- 식사와 대화 방해, 피부 자극
3. 부분 재호흡 마스크 (partial rebreather mask) : 6~10L/min의 속도로 35~60% 농도의 산소를 공급, 60~90%도 가능 (6~10L/min, FiO2 60~90%) 대상자가 내보낸 공기의 첫 부분을 모으는 저장 주머니가 장착. 호기 중 내뱉은 공기가 100% 산소와 호흡되어 다시 1/3의 공기를 다시 흡입. 흡기시 저장 주머니가 완전히 수축되면 안됨.
✔ 간호 시 유의사항
- 저장 주머니 부불려주고 붙지 않도록 계속 관찰해야 함
4. 벤츄리 마스크 (Venturi mask) : 가장 정확한 농도로 산소를 운반하는 방법 (3~15L/min, FiO2 24~50%) 산소가 빠른 속도로 산소 분출기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음압에 의해 실내 공기가 일정한 비율로 빨려 들어가 산소와 실내 공기가 혼합되어 환자에게 제공
✔ 간호 시 유의사항
- COPD 환자에게 적용됨
- COPD 환자는 O2농도에 의해 자극 받으므로 고노옫 산소 투여 시 호흡 중추에서 산소가 충분하다 여겨 호흡을 멈춤
- 분당 3L 이상 금기이므로 정확한 농도로 산소 공급해야 함
흡입요법 (구강 및 비강 흡입, 기관흡입)
정의 및 목적
스스로 호흡기계의 분비물을 배출하지 못하는 환자에게 흡인기구를 이용하여 축적된 분비물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분비물과 이물을 제거시켜 기도를 유지
- 분비물로 인한 감염이나 무기폐등을 방지
- 산소, 탄산가스 교환을 증진
- 점막을 자극시켜 기침을 촉진
- 검사물 채취 시
종류 및 체위
1. 종류
- Oral, Nasal, Endotracheal - 청결유지
- Tracheostomy (기관절개술) - Aseptic technique 유지
2. 체위 - 머리를 받쳐 주는 베개를 대고 앉는 자세나 반쯤 앉아서 누운 자세
흡인간호 주의사항
흡인간호의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불필요한 정기적 흡인을 피하고 필요시에만 시행합니다.
- 무기폐, 기도손상 예방
2. 흡인시간은 15초를 넘지 않도록 하고 흡인 전에 반드시 산소 공급을 합니다.
- 심한 저산소증 예방
3. 흡인과 흡인 사이에 적어도 2~3분간의 여우 간격을 둡니다.
- 산소가 기도를 통해 들어갈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줌
4. 카테타를 뺄때 간헐적으로 음압을 겁니다.
- 삽입 시 음압을 걸면 panic reactio, mucosal trauma, hypoxemia 가 초래됨
- 계속적으로 음압을 걸면 mucosal stripping이 초래될 수 있음
5. 계속적으로 카테타를 돌리면서 천천히 카테타를 뺀다.
- 카테타의 입구로 점막이 빨려 들어가지 않도록 함
6. 적절한 카테타를 선택한다.
- 저산소증과 점막 손상은 줄이면서 효율적으로 분비물을 제거하기 위함
7. 식후 30~1시간 후 시행합니다.
- 소화 되기 전에 흡인을 하면 역류되어서 토할수 있음
Nebulizer / 흡입기
정의와 적응증
기기에 약물을 넣어 약물이 직접 콧속, 목구멍, 기관, 기관지에 닿게 하여 항염증, 항알레르기를 기대하는 치료법으로 상, 하기도 감염증, 기관지 천식, 기관지염, 폐기종, 기관지 확장증, 기도부종, 기도 내 진한 분비물이 있을때 시행합니다.
사용방법
- 전원 코드를 연결하고 기기에 nebulizer line 과 Kit(tube)를 연결 합니다.
- 약통에 해당 약제를 투여 후 전원 코드를 누릅니다.
- 폐가 팽창되어야 좋기때문에 앉는 자세를 취하는게 좋습니다.
- 연기가 나오면 흡입합니다.
- 시간과 power 맞춰 시행 후 백태 예방을 위해 가글 또는 양치를 시행합니다.
주의사항
- 풀미칸 사용 환자는 백태 확인 위해 구강상태를 매일 확인합니다.
- 살부톨 사용하는 환자는 palpitation 및 hand tremor를 잘 확인합니다.
- 매일 기계 청소를 시행하고 기계는 모두 분리하여 닦고 소독하여 말립니다.
- 격리 환자 사용시 같은 기계 사용을 금하고 wall O2기에 연결하여 사용할수 있습니다.
- 너무 밀폐된 곳에서 하지 않도록 하고 분무가 되는 기기이므로 바람이 부는곳은 좋지 않습니다.
'간지백-내과편 > 호흡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정용 산소치료 서비스 이용안내 (0) | 2023.04.17 |
---|---|
기관지 내시경 : 후두 내시경 (Bronchoscopy) (0) | 2023.03.24 |
만성폐쇄성폐질환(COPD-Chronic obstruction pulmonary disease) (1) | 2023.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