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호흡기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은 의료관련감염의 흔한 원인되며, 특히 입원한 소아에게 발생하는 감염의 상당부분을 차지합니다. 호흡기 바이러스에는 다음의 종류가 있습니다.
I.인플루엔자 바이러스
II.RSV(RSV Respiratory syncytial virus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III.아데노바이러스
IV.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V.라이노바이러스
| Influenza | RSV | Adenovirus | PIV | Rhinovirus | |
| 구조 및 타입 | A,B,C형 | A,B형 | 41가지의 혈청형 | 4가지의 혈청형 | 100가지 이상의 혈청형 |
| 감염 |
•비말전파(호흡기로 전염)
|
•하기도호흡기 감염의 주원인
•주로 점막(눈,코,입)접촉으로 감염
|
•호흡기, 눈의 점막
•분변-경구(가장 흔한 경로
|
•기관기관지염의 가장 흔한 원인
|
•직접 접촉,비말 전파
|
| 증상 | 호흡기증상(고열,오한,두통,근육통 및 기침, 인두통), 영아의 경우 패혈증 | 고열,천명,천식,기과지염,모세기관지염,후두염,폐렴 등 | 결막염, 편도염,폐렴 등 호흡기증상 |
비염,인두염,기관지염,폐렴,후두염 등 | 감기증상 |
| 주연령 | 소아,성인 모두 | 영아(생후 1년 내) | 6개월~2세 | 영아,소아 | 거의 모든연령 |
| 유행 | 11월~3월 | 거의 매년 | 주로 가을 | 초가을,늦여름 |
P
호흡기 바이러스에 의한 의료관련 감염
- 소아 의료관련감염의 중요한 원인
- 병원내 감염 중 호흡기 감염 61% 의 원인이 호흡기바이러스
- 호흡기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발생시 평균 5~6일간의 입원 기간 연장 (다양한 여러 검사, 항생제 투여)
- 감염되면 사망률이 꼭 증가하는 것은 아니지만 고위험군(신생아,선천성 심장기형환자, 면역기능 저하 환자)은 위험
P
진단
- 신속항원검출(인플루엔자바이러스, RSV)
- 바이러스 유전자 검출을 위한 PCR 방법
- 세포배양(수일~2주까지 소요) :발병 후 가능한 빨리 채취 검체(비흡인물, 비세척액 및 비강 또는 인후 도찰 검체 등)
- 혈청학적 진단 : 급성기 혈청, 회복기 혈청이 필요하므로 진료에 한계
- 급성기 혈청(증상 발현 후 빨리), 회복기 혈청(2~3주 후)
예방 및 관리
1. 예방접종(인플루엔자)
호흡기 바이러스 중 인플루엔자만 개발
- 종류 : 불활성화 사백신(주로) & 약독화 생백신
- 효과 : 70~80%
- 기간 : 매년, 9월 말~ 10월에 접종
- 접종대상 : 50세 이상 모든 사람,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직원, 폐나 심혈관계 만성질환자, 당뇨환자, 면역기능저하 환자 등 고위험군
2. 수동면역(RSV)
- 정맥 내 면역글로불린(RSV-IVIG) & RSV 단클론항체 개발
- 만성 폐질환의 병력이나 35주 미만 재태 연령의 조산아로 태어난 24개월 미만 소아에게 예방적 투여
- 현재 RSV-IVIG는 더 이상 구할 수 없으며, RSV 단일클론항체는 2005년도 말부터 국내에 도입되어 사용중
3. 항바이러스 제제(인플루엔자 예방 및 치료)
- 항바이러스제의 투여는 증상 지속기간을 줄이고, 합 병증의 발생, 입원, 사망위험을 감소시킨다
- 증상 발현 후 48시간 이내에 투약
- Adamantanes계 약물 : amantadine(피케이멜즈정)
- 내성 균주의 증가 때문에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인플루엔사 치료사용에 권장하지 않음
- Neuraminidase 억제제 : oseltamivir(타미플루캡슐, zanamivir(리렌자 로타디스크:흡입제)
4. 격리
| 바이러스 | 잠복기 | 배출기간 | 전파주의 |
| Influenza | 1~5일 | 증상발현 후 10일 이내 | 비말 |
| RSV |
2~8일 | 3~8일 | 접촉 |
| Adenovirus |
2~14일 | 수주~수개월 | 접촉 및 비말 |
| PIV |
2~6일 | 4~9일 | 접촉 |
| Rhinovirus |
2~3일 | 7~21일 | 접촉 |
반응형
'간지백-내과편 > 감염'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두창과 비슷한 질병, 어떻게 구별할까? (0) | 2025.02.14 |
|---|---|
| 노로 바이러스란? 감염 경로부터 증상까지 (0) | 2025.02.12 |
| 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 (CDI) (0) | 2023.05.03 |
| 로타바이러스 감염관리 지침 (0) | 2023.05.02 |
| 감염성 질환자 격리 절차 및 관리지침 (0) | 2023.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