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용어정의
- C.difficile(Clostridium difficile) : 클로스트리디움디피실 감염의 원인균
- CDI (Clostridium Difficile Infenciton) :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 감염
- CDAD (Clostridium Difficile – Associated Disease) :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 관련 감염
- PMC(Pseudomembraneous Colitis) : 위막성대장염 (CDI에 심한 경우)
Clostridium difficile (C.difficile)
- 혐기성 그람 양성 간균
- 아포를 생성하며 알코올을 포함하는 다양한 소독제에 내성을 보이기 때문에 환경오염이 장기화되기 쉽고 의료진에 의한 전파 가능성이 높음
- 의료진의 손과 의료 환경에서 아포(spore)가 발견
- 오염된 환경은 아포의 형태로 수 개월에서 수년간 생존
- 의료환경표면이나 기구, 의료진의 손을 통해 접촉으로 전파
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CDI)진단 기준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설사 증상 (묽거나 액상의 배변을 1일/3회 이상 배변하거나 평소보다 자주 배변하는 경우)이 있으면서 다음의 기준을 하나이상 충족하는 경우
- 대변 C.difficile toxin A or B 양성 또는 대변배양이나 다른검사상 toxin이 확인 된 경우
- 위막성 대장염(PMC) 수술이나 내시경에서 확인된 경우
- 위막성 대장염(PMC) 조직검사에서 확인된 경우
* C.difficile 진단기준과 격리인정기준 다름
CDAD 격리실 입원료 급여 기준
- 배양검사 또는 면역학적 검사 결과 감염이 확인된 시점부터 치료기간 동안 격리실 입원료 요양급여 인정
- 치료기간 : 항생제 또는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하는 경우는 약제투여기간, 대증치료를 하는 경우는 증상이 지속되는 기간
- 배양검사 또는 면역학적 검사 결과 감염이 확인된 시점부터 치료기간 동안 격리실 입원료 요양급여 인정
C.difficile 감염관리지침
1.적합한 항생제 사용
- 광범위한 항생제의 사용이 중요한 위험인자
- 특히 3,4세대 cephalosporins, carbapenem, clindamycin, fluoroquinolone, aminopenicillin
- CDI 발생시 사용 중이던 항생제를 가급적 중단!!
- 유행발생이거나 토착적으로 발생률이 높을 때
- 항생제 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발생률 감소
2. 진단
- 전파 억제를 위해 빠르고 적합한 검사
- 병동, ICU : 의심되는 경우 즉시 독소검사 시행
- 검사실 : 빠른 검사 및 결과보고
- 감염관리실 : 적합한 감염관리(격리, 환경관리)
- 입원 3일 이상 되었고 설사변이라면 독소검사 실시
- 독소검사 : 설사변 (고형변은 양성예측도감소)
- 임상증상 호전 후에도 최대 30일까지 균이 동정되므로 치료 종료 후 추적검사는 불필요!!
3. 손위생
- 알코올 X(내성), 물과 비누를 이용한 손위생
4. 격리(접촉주의)
- 가능한 1인실 격리
- 격리기간 : 대변이 정상화된 후 48시간에 해제권장 - 유행발생으로 발병률이 높은 경우 한시적으로 연장가능
- 일회용 장갑 & 가운착용- 장갑을 벗은 후 물과 비누로 손씻기시행
5. 의료기기의 사용
- 가능한 일회용 의료기구를 사용
- CDI 환자용으로 배정하여 CDI 환자에게만 사용
- 공용사용기구(내시경 등)는 CDI 환자 사용 후 소독제사용(30분이상 침적 소독)
(살포자 : 2%글루타르알데하이드(사이덱스,와이덱스), peracetic acid(페라세이프,페라스코프)
6. 환경 청소 및 소독
- 아포를 형성하여 내성이 강하고 환경에서 수개월에서 수년간 생존
- CDI 환자 퇴원 후에는 철저한 청소와 소독이 필요
- 환경소독제(염소계 소독제)
Hypochlorite(차아염소산염) – 락스 1:100(물1L, 락스10CC) 희석하여 소독(노출 5분부터 살균력)
- 물과 비누를 이용한 손위생
- 장갑 & 가운 착용(접촉주의)
- CDI환자의 병실은 1:100(물1L, 락스10CC)으로 희석하여 환경 소독
반응형
'간지백-내과편 > 감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흡기 바이러스 : 구조, 증상, 진단, 예방, 관리 (0) | 2023.05.04 |
---|---|
로타바이러스 감염관리 지침 (0) | 2023.05.02 |
감염성 질환자 격리 절차 및 관리지침 (0) | 2023.05.02 |
다제내성균 종류별 격리 해지 및 관리지침 (0) | 2023.05.01 |
유치도뇨관 관리지침 - 삽입, 소변백 관리, 검체 채취 (0) | 2023.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