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저혈당이란
저혈당은 혈액 중의 포도당(혈당) 수준이 정상 수치보다 낮아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혈당 수준이 70mg/dL(3.9mmol/L) 이하로 떨어지면 저혈당으로 분류됩니다.
* 대한 당뇨병학회에서 권장하는 혈당 값
시간 | 정상 | 당뇨전단계 | 당뇨관리필요 |
공복 | 99 이하 | 100~125 | 126 이상 |
식후 1시간 | 180 이하 | 200 이상 | 200이상 |
식후 2시간 | 140 이하 | 140~199 | 200이상 |
저혈당 원인
저혈당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 장애입니다. 인슐린 및 혈당 조절 약물의 과다 복용, 식사를 건너뛰거나 불규칙하게 섭취하는 경우 혈당 수준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신체 활동의 증가, 음주, 일부 약물의 부작용, 기타 건강 상태(간질환, 신장 기능 장애 등)도 저혈당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저혈당 증상
저혈당의 증상은 개인마다 다를 수 있으며, 주로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 혈당이 급격하게 떨어질 때: 어지럼증, 두통, 불안감, 불편감, 손 떨림, 헛발질, 배고픔, 혼란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저혈당이 지속될 때: 피로, 헷갈림, 허약감, 심한 경우 의식 잃음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저혈당 응급처치
저혈당이 응급 상황으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저혈당 증상을 경험하는 경우 즉시 대처해야 합니다. 다음은 일반적인 대처 방법입니다.
- 혈당 수치 확인: 증상이 나타나면 혈당 수치를 확인해봅니다. 저혈당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당분 함유 음식 섭취: 주스, 사탕, 과일, 콜라, 빵 등 당분을 함유한 음식을 섭취하여 혈당 수치를 빠르게 올릴 수 있습니다.
- 당분 함유 음식 섭취 후 15분 후에 혈당 재확인: 혈당 수치가 여전히 낮은 경우, 다시 당분 함유 음식을 섭취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 의료진 상담: 만약 당뇨병을 갖고 있거나 반복적인 저혈당 증상을 경험한다면 의료진과 상담하여야 합니다. 의료진은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고 적절한 처치나 조치를 제안할 수 있습니다. 저혈당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혈당 조절 계획을 재평가하고 약물 조절이 필요한지 검토할 수 있습니다.
저혈당 예방
저혈당 예방을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 정기적인 식사: 규칙적인 식사 간격과 식사량을 유지합니다. 과도한 식사나 식사를 건너뛰는 것은 혈당 수준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혈당 모니터링: 혈당 수치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혈당 조절 계획에 따라 약물을 복용합니다.
- 신체 활동 관리: 신체 활동을 할 경우 혈당 수준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신체 활동 전후에 혈당을 체크하고 조절합니다.
- 의료진과의 상담: 혈당 조절 계획이나 약물 복용에 대해 의료진과 상담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합니다.
저혈당은 심각한 상태로 진행할 수 있으므로, 증상이 심해지거나 지속되는 경우 응급 처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저혈당 증상을 경험하는 경우, 의료진과 상담하고 응급 상황에서는 즉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간지백-내과편 > 신장내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GFR 사구체여과율 : 정상수치, 계산법 (0) | 2023.04.26 |
---|---|
복막투석 방법, 과정, 주의사항, 부작용, 혈액투석 (0) | 2023.04.23 |
혈액투석 (hemodialysis) 환자 : 적응증, 접근로, 동정맥루, 간호, 식이요법 (0) | 2023.04.19 |
인슐린 주사 펜 종류 (0) | 2023.04.16 |
고칼륨혈증 (hyperkalemia) (0) | 2023.04.04 |